안녕하세요. 꿀둥지입니다.
혹시 이마트, 신세계, 롯데 백화점 등 특별한날 와인을 고르는데, 무엇을 고를지 몰라 멍...하니 서있었던 경험이 있으실까요? 먼저, 한가지 팁을 드리자면 맛있고 고급스러운 레드 와인의 알코올 농도는 일반적으로 13%에서 15% 사이에 위치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와인의 스타일과 지역에 따라 알코올 농도는 다를 수 있으며, 포도의 종에 따라 와인이 달거나 시거나 할 수도 있습니다. 더욱더 분위기에 따른 필요한 와인의 맛이 있겠죠?
이 글에서는 와인의 맛을 결정하는 주요 성분, 대표적인 지역과 포도 품종, 그리고 각 지역을 대표하는 와인의 스토리를 알아 보겠습니다.

와인의 맛을 결정하는 성분
와인의 맛을 결정하는 주요 기본 성분은 알코올, 탄닌, 산도, 당도, 그리고 향이 있습니다.
알코올 (Alcohol)
와인의 알코올은 발효과정에서 포도의 당을 이용해 생산됩니다. 알코올은 와인의 강도와 몸체를 결정하는 주요 성분입니다. 와인의 알코올 함량은 퍼센트(%)로 표기되며, 일반적으로 레드 와인은 12% ~ 15%, 화이트 와인은 10% ~ 13% 정도의 알코올 함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알코올은 와인의 풍미와 향을 부각시키는 역할을 하며, 와인의 온도와 숙성에 따라 변화하는 맛과 성숙도를 결정합니다.
탄닌 (Tannin)
탄닌은 와인의 산미와 탄력을 제공하는 성분입니다. 탄닌은 포도의 껍질, 씨앗, 줄기 등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와인 제조과정에서 피할 수 없는 요소입니다. 레드 와인에 특히 풍부하게 존재하며, 레드 와인을 씹듯이 마셨을 때 입안에서 탄닌이 느껴지는 것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탄닌은 와인을 숙성시키고 오래 보관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와인의 구조와 풍미를 조화롭게 만들어줍니다.
산도 (Acidity):
와인의 산도는 와인의 신선함과 균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포도의 신선한 과일 특성을 강조하며, 와인의 활력과 상쾌함을 제공합니다. 산도는 와인의 신맛과 시트러스 향을 조절하는데 영향을 주며, 와인을 더 상쾌하게 만들어줍니다. 산도는 와인의 종류와 지역에 따라 다르며, 와인의 숙성과 온도에 따라 변화할 수 있습니다.
당도 (Sweetness)
와인의 당도는 와인에 함유된 당의 양을 나타냅니다. 당도는 포도의 성장과 수확 시기, 발효 과정에서 당을 포도가 분해하는 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와인은 당도에 따라 건조한(dry), 준건조한(off-dry), 달콤한(sweet) 등 다양한 당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당도는 와인의 입안에서의 달콤한 느낌을 결정하며, 와인의 균형과 맛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향 (Aroma)
와인의 향은 와인을 마실 때 인지되는 다양한 향기를 의미합니다. 와인에는 다양한 향기 성분이 존재하며, 과일, 꽃, 향신료, 나무, 토양 등 다양한 원료와 생산 과정에서 비롯됩니다. 와인의 향은 와인잔에 따르는 향기, 산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표현되는 향기, 그리고 입안에서 느껴지는 후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인지됩니다. 향은 와인의 개성을 부각시키고, 와인의 맛과 풍미를 완성시킵니다.
이러한 성분들은 와인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형성하며, 와인을 즐기는 과정에서 그 매력을 더욱 빛나게 합니다
대표적인 지역과 포도 품종
이 글의 핵심인 와인의 지역과 포도 품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와인을 대표하는 4개의 지역에 따라 재배되는 포도의 품종과 맛의 특성을 알아보겠습니다.
프랑스 보르고뉴 (Burgundy) 지역
- 대표적인 품종
: 피노 누아 (Pinot Noir)
- 맛의 특성
: 피노 누아는 연한 색상과 신선한 빨간 과일의 향기를 가지고 있으며, 부드럽고 우아한 탄닌과 미묘한 향을 제공합니다. 보르고뉴의 피노 누아 와인은 지역의 토양과 기후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아 다양한 스타일과 높은 품질을 보여줍니다.
이탈리아 토스카나(Tuscany) 지역:
캘리포니아 대표적인 품종
: 산지오베제(Sangiovese)
- 맛과 특성
: 토스카나 지역의 대표적인 빨간 와인인 산지오베제는 고도의 산도와 탄닌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와인은 플러미(floral)한 향기와 함께 체리와 레드 베리의 과일풍미가 두드러지며, 지역 특유의 토양과 해발 고도가 품질에 영향을 줍니다. 브루넬로(Brunello)와 키안티(Chianti) 등 대표적인 와인들이 토스카나 지역에서 생산됩니다.
스페인 - 라 리오하 (Rioja):
- 대표적인 품종
: 템프란리요 (Tempranillo)
- 맛의 특성
: 템프란리요는 오래 숙성시키면서도 부드러운 탄닌과 풍부한 과일향을 가진 와인을 만들어냅니다. 이 와인은 풍부한 과일향과 오크향이 어우러져 균형있는 맛을 형성합니다. 템프란리요의 특징적인 풍미는 숙성 시 점점 더 복잡하고 향기로워진다고 합니다.
캘리포니아 누파(Napa) 지역
- 대표적인 품종
: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 맛과 특성
: 누파의 카베르네 소비뇽은 좋은 기후와 토양 조건에서 재배됩니다. 이 지역의 와인은 풍부한 탄닌과 높은 알코올 함량을 가지며, 검은 과일의 풍부한 풍미가 돋보입니다. 누파의 와인은 풍성하고 진한 특징을 가지며, 깊고 복잡한 맛과 향을 선사합니다.
각 지역을 대표하는 브랜드와 와인의 스토리
각 지역을 대표하는 와인 브랜드가 있고, 그 브랜드마다 그들의 와인 맛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요.
프랑스 - 보르고뉴 (Burgundy)
- 브랜드: Louis Jadot
- 맛의 특성: Louis Jadot의 Bourgogne Pinot Noir는 고요하고 세련된 풍미의 와인입니다. 딸기와 체리 같은 레드 베리 풍미와 함께 부드러운 탄닌과 적절한 산도를 보여줍니다. 또한, 약간의 스파이스와 허브의 향이 느껴집니다.
이탈리아 - 토스카나 (Tuscany)
- 브랜드: Banfi
- 맛의 특성: Banfi의 Chianti Classico는 산지오베제 포도로 만든 전형적인 토스카나 와인으로, 레드 베리와 흙내, 허브 향을 보여줍니다. 탄닌이 잘 발달하고 적절한 산도로 균형잡힌 와인입니다.
스페인 - 라 리오하 (Rioja)
- 브랜드: Campo Viejo
- 맛의 특성: Campo Viejo의 Rioja Tempranillo는 풍부한 흑색 과일의 향과 적절한 오크 향을 보여줍니다. 중간 정도의 탄닌과 산도를 가지며, 잘 숙성됨에 따라 더욱 복잡성을 발휘합니다.
캘리포니아 - 누파 (Napa)
- 브랜드: Robert Mondavi
- 맛의 특성: Robert Mondavi의 Private Selection Cabernet Sauvignon은 검은 과일, 허브, 스파이스의 풍미와 풍부한 탄닌을 보여줍니다. 또한, 누파의 특징인 오크향이 잘 느껴집니다. 이 와인은 과일의 풍미와 탄닌, 오크향이 잘 균형을 이루는 것이 특징입니다.
글맺음
와인은 숙성술로서 어떻게 숙성시키느냐에 따라 맛과 향이 다른데요. 그렇기 때문에 같은 브랜드의 같은 와인을 어떻게 보관하냐에 따라 또 맛이달라지기더 한다고 합니다.
와인을 보관하실때는 눕혀서 코르코마개가 항상 젖은 상태로 보관하시면 공기와의 접촉을 막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와인의 맛을 결정하는 성분, 대표적인 지역과 포도 품종, 그리고 각 지역을 대표하는 와인의 스토리를 알아보았습니다. 와인의 세계가 너무 광범위하다보니 지역별 와인의 브랜드와 대표 와인을 다음 시간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꿀둥지였습니다!